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
상기업의 재고자산 관련 계정 | 상품 | 매출원가 |
제조기업의 재고자산 관련계정 | 원재료, 재공품, 제품 | 매출원가 |
상기업
재고자산
- 상품 : 매입원가 기록
제조기업
재고자산
- 원재료 : 직접 계산 필요
- 재공품 : 직접 계산 필요
- 제품 : 직접 계산 필요
제조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원가계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계정은 ‘재공품(work in process)’ 계정이다.
1. 직접재료원가
원재료(재무상태표) 계정에서 발생
직접재료원가 = 기초원재료 + 당기원재료매입액 - 기말원재료 - 간접재료원가(제시되는경우)
[원재료 구입시]
(차) 원재료 90,000 (대) 현금 90,000
[원재료 투입시]
(차) 재공품 60,000 (대) 원재료 60,000
(차) 제조간접원가 20,000 (대) 원재료 20,000
[나중에 제조간접원가 재공품에 투입]
(차) 재공품 20,000 (대) 제조간접원가 20,000
2. 직접노무원가
직접노무원가 = 노무원가발생액 - 간접노무원가(제시되는경우)
노무원가 발생액이 아닌 현금지급액이 제시되는 경우
노무원가 발생액 = 노무원가 현금지급액 + 미지급노무원가 증가액
노무원가 발생액 = 노무원가 현금지급액 - 미지급노무원가 감소액
[노무원가 구입시]
(차) 노무원가 90,000 (대) 현금 60,000
(대) 미지급노무원가 30,000
[노무원가 대체시]
(차) 재공품 70,000 (대) 노무원가 90,000
제조간접원가 20,000
[나중에 제조간접원가 재공품에 투입]
(차) 재공품 20,000 (대) 제조간접원가 20,000
2.제조간접원가
제조간접원가 = 간접재료원가 + 간접노무원가 + 제조경비
공장에서 발생한 원가만 제조간접원가에 포함한다. 판매시설에서 발생한 원가는 판매비, 관리시설(본사)에서 발생한 원가는 관리비로 분류한다.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
(차) 제조간접원가 90,000 (대) 원재료 60,000
미지급노무원가 30,000
감가상각누계액 30,000
미지급수선유지비 30,000
[제조간접원가 대체 시]
(차) 재공품 90,000 (대) 제조간접원가 90,000
3. 재공품
당기총제조원가(= 당기투입원가, 당기발생원가)
당기에 새롭게 투입된 제조원가로 재공품계정 차변에 가산(Total Manufacturing Cost)
당기제품제조원가
당기에 완성되어 제품으로 대체된원가(Cost of Goods Manufactured)
당기총제조원가와 당기제품제조원가는 서로 다른 원가라는 점에 유의한다.
재공품 | |
기초재공품 XXX | 당기제품제조원가 XXX |
당기총제조원가 XXX 직접재료원가 XXX 직접노무원가 XXX 제조간접원가 XXX |
기말재공품 XXX |
[재공품 집계 시]
(차) 재공품 220,000 (대) 원재료 60,000
직접노무원가 70,000
제조간접원가 90,000
[제품 대체 시]
(차) 제품 210,000 (대) 재공품 210,000
4. 제품
기초제품과 당기제품제조원가의 합인 판매가능재고는 최종적으로 매출원가 또는 기말제품으로 귀속된다.
제품 | |
기초 제품 XXX | 매출원가 XXX |
당기 제품제조원가 XXX | 기말제품 XXX |
[제품 집계 시]
(차) 제품 210,000 (대) 재공품 210,000
[매출원가 대체 시]
(차) 매출원가 210,000 (대) 재공품 210,000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Cost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2절 보조부문 원가배분 (0) | 2023.10.05 |
---|---|
제2장(간접원가 배분 및 활동기준원가계산)-1절 간접원가 배분 (0) | 2023.10.04 |
제1장-4절 원가의 정의와 분류 (0) | 2023.09.25 |
제1장-3절 관리회계의 개요 (0) | 2023.09.22 |
제1장-2절 원가 회계의 개요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