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sorted( ) 함수 정리
- sorted(정렬할 데이터)
- sorted(정렬할 데이터, reverse 파라미터)
- sorted(정렬할 데이터, key 파라미터)
- sorted(정렬할 데이터, key 파라미터, reverse 파라미터)
sorted 함수는 파이썬 내장 함수이다.
첫 번째 매개변수로 들어올 "정렬할 데이터"는 iterable한 데이터 이여야 한다.
첫 번째 매개변수로 들어온 iterable한 데이터를 새로운 정렬된 리스트로 만들어서 반환해 주는 함수이다.
아래 옵션(파라미터)은 다 기본값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sorted(정렬 데이터)만 넣어도 충분하다.
- key 옵션 ( key 파라미터 )
key 파라미터는 어떤 것을 기준으로 정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다.
sorted( ~~ , key= ~~)로 입력하게 되면 해당 키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반환한다.
- reverse 옵션 ( reverse 파라미터 )
오름차순으로 정렬할지 내림차순으로 정렬할지 정할 수 있다.
디폴트로는 reverse=False로 오름차순으로 정렬이 된다.
sorted( ~~ , reverse=True)로 입력하게 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반환한다.
예)
a = [2, 4, 1, 9, 100, 29, 40, 10]
b = sorted(a)
c = sorted(a, reverse=True)
print(f'origin : {a}')
print(f'sorted(a) : {b}')
print(f'sorted(a, reverse=True) : {c}')
origin : [2, 4, 1, 9, 100, 29, 40, 10]
sorted(a) : [1, 2, 4, 9, 10, 29, 40, 100]
sorted(a, reverse=True) : [100, 40, 29, 10, 9, 4, 2, 1]
'Python > Python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트에 map 사용 (0) | 2022.10.07 |
---|---|
flatten() 함수 (0) | 2022.07.28 |
배열의 축(axis) 이해하기 (0) | 2022.07.12 |
고유값(eigenvalue), 고유벡터(eigenvector) 의 정의 (0) | 2022.07.12 |
Norm, 노름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