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st & Managerial Accounting/Cost Accounting

(21)
6장 -3절 이익차이조정 제 3절 이익차이조정 1.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이익 (1) 이익차이를 가져오는 원인 : 고정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처리 변동원가계산 : 당기 고정제조간접원가 총액을 기간비용으로 처리 전부원가계산 : 당기 고정제조간접원가 총액을 제품원가에 포함한 뒤 해당제품이 판매될 떄 비용으로 처리 (2) 비용처리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 : 선입선출법 가정 변동원가계산 : 당기에 비용처리 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가 기간비용이므로 당기에 발생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전액 비용으로 처리한다. => 당기에 비용처리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 : 당기 FOH 고정원가계산 : 제품이 판매될 때 해당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비용처리 한다. 선입선출법 하에서는 기초재고자산이 가장 먼저 판매되므로,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가장..
6장 -2절 전부, 변동, 초변동원가계산의 손익계산서 2절 전부, 변동, 초변동원가계산의 손익계산서 1. 전부원가계산 (1) 전부원가계산 손익계산서 (2) 전부원가계산 손익계산서 특징 ①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시키며, 비용을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와 같이 기능에 따라 분류한다. ② 기능에 따라 원가를 분류하는 경우 매출총이익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므로 외부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된다. ③ 판매량 또는 생산량과 같은 조업도가 변하는 경우 영향을 받는 원가는 변동원가인데 전부원가계산은 변동원가와 고정원가가 혼합된 원가정보를 제공하므로 조업도 변화에 따른 원가 및 이익의 변화를 예측하기가 어렵다. 즉, 의사결정 등 내부관리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 즉, 의사결정 등 내부관리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 ④ 판매량과 전부원가계산 영업이익 :..
6장(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 -1절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의 개요 6장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 1절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의 개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서는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방법을 전부원가계산(absorption costing)이라 한다. 재무제표 작성목적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따라야 하므로 전부원가계산에 의해 제품원가를 계산한다. 그러나 재무제표 작성이 아닌 기타의 목적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특정상황에서는 제조원가 중 일부가 제품원가에서 제외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방법에는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과 초변동원가계산(super-variable costing or throughput costing) 이 있다. 1.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의 논리와..
5장 -3절 부산물의 원가계산 5장(결합원가계산) - 3절 부산물의 원가계산 부산물 및 작업 폐물은 연산품에 비해 판매가치가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연산품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할 경우 원가계산에 투입되는 노력에 비해 그 효익이 매우 작으며, 연산품과 묶어서 원가 배부를 하는 것도 합리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물량기준법을 사용하는 경우, 연산품 1g과 부산물 1g에 동등한 원가를 배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부산물과 작업폐물의 회계처리 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 1. 생산기준법 생산시점에서 부산물의 순실현가치 만큼 부산물에 결합원가를 배부 (1) 부산물의 생산시점에 부산물의 순실현가치를 계산하여 해당금액만큼을 결합원가에서 배부 (2) 연산품에 배부되는 결합원가 = 결합원가 총액 - 부산물로 배부된 결합원가 ..
5장 -2절 연산품의 원가계산 5장 결합원가계산 - 2절 연산품의 원가계산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직접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인위적인 배부기준을 산정하여 배부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익, 비용 대응의 논리에 입각하여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배부한다.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배부할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물량 기준법 (physical measure method) ① 생산된 연산품의 물량을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부하는 방법 ② 측정이 쉽고 생산된 물량의 비율이 매년 유사하므로 한번 측정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③ 수익-비용 대응에 충실하지 않다. 예를 들어, 꽃등심 1KG과 사골 1KG에 같은 금액의 결합원가를 배부하게 되는데 이는 꽃등심이 훨씬 수익성이 높다는 점을 간과한 계산이다. ..
5장(결합원가계산) -1절 결합제품(Joint Product)과 결합원가(Joint Cost) Part05 결합원가계산 1절) 결합제품(Joint Product)과 결합원가(Joint Cost) 1. 결합제품과 결합원가의 정의 특정 산업에서는 공통의 원료를 공통의 공정에서 가공하여 여러 제품을 동시에 얻는다. 이 경우 특정 제품으로 원가를 얼마나 투입했는지를 추적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원가를 계산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10,000,000의 원가로 한우 한 마리를 구입한 후 ₩2,000,000의 가공원가로 다양한 부위의 소고기를 얻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다양한 부위의 소고기를 얻기 위한 전체원가는 ₩2,000,000인데, 소고기의 부위별 원가, 즉, 안심, 등심, 갈비살 등의 정확한 원가를 구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각 부위별로 원가를 별도로 투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부위별..
4장 -4절 공손품 회계 4절 공손품 회계 1.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공손(품)(spoilage)이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의미하며 공손은 정상공손과 비정상 공손으로 구분된다. 정산공손과 비정상공손 ① 정상공손(normal spoilage) : 회사가 효율적으로 공정을 운영하더라도 생산환경 및 기술력의 한계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손, 정상품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것이므로 원가성을 인정하여 정상품원가에 가산 ② 비정상공손(abnormal spoilage) : 정상공손의 범위를 초과한 공손, 이는 정상품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기 보다는 생산과정의 비효율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영업외비용으로 처리 사례) 정상공손의 원가성을 인정하는 이유 김가람 씨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수제작으로 생산,판매하고 있는데, 생..
4장 -3절 후속공정의 원가계산 3절 후속공정의 원가계산 지금까지 살펴본 원가계산은 제조과정의 첫번째 공정을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공정별 생산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공정을 거처야 제품이 생산되므로, 두번째 이후의 공정, 즉 후속공정에 대한 원가계산도 필요하다. 후속공정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첫번째 공정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후속공정에서는 첫 번째 공정에서 대체된 원가인 전공정대체원가를 포함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점들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후속공정원가계산의 특징 ① 앞 공정의 완성품 수량 = 후속공정의 당기착수량 ② 앞 공정의 완성품 원가 = 후속공정의 당기투입 전공정 대체원가 ③ 기초, 기말재공품 및 공손품의 전공정대체원가 완성도 = 100% 즉, 전공정대체원가의 원가 완성도는 언제나 100%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