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 & Managerial Accounting/Managerial Accounting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11장 -3절 회사전체 입장 11장 사내대체거래 3절 회사전체 입장 회사전체 이익에는 대체가격의 범위가 영향을 준다. 아래의 두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여 대체거래가 회사전체 이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자. 1.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는 경우 (1) 대체 가격을 ₩2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200보다 ₩50 만큼 비싸게 판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 이익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300보다 ₩50만큼 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이익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이익과 구매사업부의 이익을 더한 ₩100 이익 (2) 대체가격을 ₩1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200보다 ₩50만큼 싸게 판매하므로 대체 시 단위당 ₩50 손실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300.. 11장 -2절 대체가격 범위 제 11장 사내대체거래 제 2절 대체가격 범위 대체가격은 회사전체에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대체가격의 범위는 회사전체 이익에 영향을 준다. 공급사업부는 재화를 판매하는 입장이므로 최소대체가격, 구매사업부는 재화를 구매하는 입장이므로 최대 대체가격이 존재한다.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공급사업부가 현재 재화를 생산하여 외부시장에 판매하고 있는데 구매사업부가 해당 재화의 내부대체를 요구한다면, 공급사업부 입장에서 내부대체 의사결정은 특별주문 수락여부 결정과 비슷한 상황이다. 앞서 특별주문 수락여부 결정 시 가장 먼저 점검할 내용이 유휴설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였으므로,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을 계산할 때도 공급사업부에 유휴설비가 존재하는지를 기준으로 최소대체가격을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 (.. 11장 사내대체거래 -1절 대체거래의 의의 11장 사내대체거래 제1절 대체거래의 의의 1. 사내대체거래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각 부문사이에 거래가 발생한다. 각 부문은 별도의 이익으로 평가를 받게 되므로, 부문 간 거래에서 얼마의 가격을 책정할 것인지는 부문 관리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공급 사업부가 투입한 원가를 거래가격으로 산정할 것인가? 아니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부문간 거래에도 적용할 것인가? 이와 같은 문제는 각 부문과 회사전체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 기업 내부에서 사업부 간에 재화나 용역을 거래하는 것을 사내대체(internal transfer), 사내이전, 내부거래 등 다양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해당 거래에 적용되는 가격을 (사내)대체가격(transfer price ; TP)이라 한다. 사내대체거래에서 재화나 용역을.. 10장 -2절 투자중심점 성과평과 제 10장 판매부문, 투자중심점 성과평가 제2절 투자중심점 성과평과 1. 투자중심점 성과평과 방법의 특징 투자중심점(investment center) ① 의의 : 독립적인 사업부문으로 이익과 투자액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있는 부문 ② 성과평과 시 이익과 투자액이 모두 고려되어야함. * 예를 들어 당기 갑사업부의 이익은 ₩500, 을사업부의 이익은 ₩800이라고 할 경우, 이익만 고려했을 때는 을 사업부의 성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갑사업부가 운용하는 자본규모는 ₩2,000, 을사업부가 운용하는 자본규모는 ₩20,000이라고 한다면 투자액 규모를 고려했을 때 을 사업부의 성과가 우수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③ 이익과 투자액을 모두 고려하는 방법에는 투자수익률, 잔여이익, 경제적부가가치, .. 10장 판매부문, 투자중심점 성과평가 - 1절 판매부분 성과평과 제 10장 판매부문, 투자중심점 성과평가 제1절 판매부문 성과평가 1. 매출차이분석의 체계 2. 매출차이분석의 3단계 (1) 1단계 : 매출가격차이와 매출 조업도 차이 1) 매출가격차이(sales price variance) : 실제 매출액( 실제판매수량 X 실제판매가격 ) 과 변동예산 매출액 ( 실제판매수량 X 예산판매가격 )의 차이로 발생한다. 매출가격차이는 예산판매가격에 비해 실제 판매가격이 달라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인데 판매가격의 변화는 시장에서 결정되는 것이고 판매부문의 성과로 보기 어려우므로 판매부문의 성과에서 매출가격차이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다. 2) 매출조업도차이(sales volume variance) : 변동예산상의 공헌이익( 실제판매수량 X 예산공헌이익 )과 고정예산상의 공헌.. 9장 -4절 표준원가 차이분석 9장 표준원가 제 4절 표준원가 차이분석 ㈜한국공항은 A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A제품의 예산원가와 실제원가자료는 아래와 같다. 1. 예산자료 ㈜한국공항의 목표 생산/판매량은 1,250개 이고, 연간 고정제조간접원가예산은 ₩50,000이다. ㈜한국공항이 산정한 원가요소별 표준원가는 아래와 같으며, 한국은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으로 직접노무시간, 기준조업도로는 1,250개를 사용한다. 단위당 표준수량 표준가격 단위당 표준원가 직접재료원가 10㎡ ₩4/㎡ ₩ 40 직접노무원가 4시간 ₩30/시간 ₩ 120 변동제조간접원가 4시간 *1 ₩15/시간 ₩ 60 고정제조간접원가 4시간 *2 ₩10/시간 ₩ 40 계 ₩ 260 2. 실제원가 실제생산량 1,200개 직접재료원가(11,000㎡ X ₩5) ₩ 55,00.. 9장 - 3절 표준원가 9장 표준원가 제3절 표준원가(standard cost) 1. 표준원가의 의의 원가계산준칙 제 26조 표준원가계산의 적용 ① 표준원가 계산은 사전에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의하여 산정한 원가(이하 “표준원가”라 한다)를 이용하여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② 표준원가는 회사의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달성가능하도록 설정한다. (1) 표준원가의 정의 표준원가(standard cost) ① 효율적인 생산환경에서 제품 한 단위를 생산할 경우에 예상되는 제품원가 ② 정상원가계산에서는 제조간접원가에 대해서만 예정배부율을 사용하지만, 표준원가계산에서는 모든 제조원가에 대해 미리 정한 표준원가를 이용함. (2) 표준원가 도입목적 표준원가 도입목적 ① 생산과정에서 표준원가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므로.. 9장 - 2절 성과평가의 일반사항 9장 표준원가 제2절 성과평가의 일반사항 1. 책임회계(responsibility accounting) 책임회계(responsibility accounting) ① 각 부문에 부여된 권한과 관련하여 재무적 결과로 해당 부문을 평가하는 회계 ② 해당 부문이 통제할 수 있는 요소 만을 반영해야 함 -> 통제가능성의 원칙 (controllability principle) 2. 책임단위(responsibility center)의 종류 책임중심점 또는 책임단위(reponsibility center)의 종류 ① 원가책임단위(cost center) : 제조 부문 => 표준원가 차이분석에 의해 평가 * 지원부문도 원가 책임단위로 분류한다. ② 수익책임단위(revenue center) : 판매부문 => 매출 차이분석에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