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ableau/Tableau basic

Tableau ch02 - 02. 연속형과 불연속형

ch02 - 02. 연속형과 불연속형


---- 배울 것 ----

A. 연속형고 불연속형의 정의

B. 화면에 나타나는 방식의 차이

C. 날짜 형식에서의 연속형과 불연속형

D. 차원과 측정값, 그리고 연속형과 불연속형

 

 

연속형과 불연속형

 

태블로가 연속형불연속형에 대해서 내리고 있는 정의입니다.

 

Continuous means "forming an unbroken whole without interruption"

Discrete means "individually seperate and distinct"

 

상식 선에서 이해하면 어렵지 않다.

연속형은 쭉 이어진 것, 불연속형은 잘려서 구분되는 것

 

연속형과 불연속형이 시트로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색상이 다르다.

연속형은 초록색 알약, 불연속형은 파란색 알약으로 표현된다.

또한 연속형은 연속된 값이 나타나는 축이 생성되고, 불연속형은 값이 하나하나씩 나타내진다.

 

 

 

화면에 나타나는 방식의 차이

 

연속형과 불연속형을 마크 카드 안쪽 색상으로 표현해보자.

열과 행을 바꾸고,  불연속형이 Address - SD 가 마크카드 색상으로 가면 아래와 같다.

 

 

이번에는 Sales의 연속형 필드를 색상에 넣어보자.

 

매출이 높은 시도의 색상이 진함을 알 수 있다.

 

연속형 같은 경우에는 그라데이션 형태, 불연속형 같은 경우에는 다른 색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필터에 불연속형, 연속형을 넣었을때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자.

우선 불연속형인 Address-SD를 필터에 넣어보자

 

 

이중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선택하자

 

 

이처럼 불연속형은 해당 값을 필터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연속형을 필터에 넣어보자

 

 

그러면 필터 필드가 나온다. 일단 합계 Sales를 보기 위해서 합계를 누르자.

 

여기에는 합계 Sales 기준을 가지고 범위를 작성할 수 있다.

 

이 범위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 시도만 추출된다.

 

 

 

 

날짜 형식에서의 연속형과 불연속형

 

불연속형 날짜 표현

Sales를 행에, Order date를 열에 넣으면 자동으로 선그래프가 생성된다.

이때, 마크카드로 차트를 조정이 가능하다. 

 

 

 

날짜 필드는 본질적으로 계층적인 구조이다. 연도 - 분기 - 월 - 일 순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날짜 필드는 계층적으로 버튼을 눌러서 나눌수 있다.

 

 

이제 연속형 날짜 표현을 확인해보자.

Order Date에서 마우스 왼쪽을 누르고 연속형 분기를 선택하자

 

 

 

또한 한번에 하는 방법은 Order Date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선택하고, 드래그 하면 아래와 같은 필드 놓기가 생성된다.

 

 

 

 

 

위 연도를 제외한 분기만 표현된 막대의 숫자는, 모든 4년치 매출을 분기별로 나누어서 합산한 매출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연속형과 불연속형 날짜필드의 차이는 불연속형은 따로따로 논다는 것이다. 

연속형은 큰 맥락 속에서 상위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고, 불연속형은 상위개념과는 별개로 각각 논다는 것이다.

 

 

위의 차트는 4년동안의 26일의 매출을 모두 합산한 것을 나타낸다.

 

 

 

차원과 측정값, 그리고 연속형과 불연속형

 

여기서 차원은 파란색테이블 불연속형, 측정값은 초록색테이블 연속형인가?

-> 아니다! 

 

 

 

 

즉, 측정값은 연속형, 차원은 불연속형이다라는 개념은 틀렸다! 

일반적으로 차원은 불연속형, 측정값은 연속형으로 쓰이지만, 아닌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