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가의 정의
원가의 정의 :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한 자원의 가치 -> 비용과 유사하지만 다른개념
2. 원가의 분류(1) : 직접원가와 간접원가
원가의 분류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목적으로 원가를 집계하는 지에 달라진다. 이를 ‘상이한 목적에 따른 상이한 원가’로 표현한다
추적가능성에 따라 분류 | 내용 |
직접원가 개별원가 |
원가대상에 추적 가능한 원가 |
간접원가 공통원가 |
원가대상에 추적 불가능한 원가 |
3. 원가의 분류(2) :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
원가의 기능별 분류 | 내용 |
제조원가 | 생산시설에서 발생한 제조활동과 관련한 원가 |
비제조원가 | 생산시설 외에서 발생한 제조활동과 관련되지 않은 원가 |
3-1.제조원가 (manufacturing cost)
[제조원가의 분류 : 제조원가 3요소]
재료원가 | 직접재료원가(DM) | 제조 간접원가(OH) |
간접재료원가 ---------> | ||
노무원가 | 직접노무원가(DL) | |
간접노무원가 ---------> | ||
제조경비 | ---------> |
1. 직접재료원가(DM : Direct Material Cost)
재료원가 중 특정 제품으로 직접 추적이 가능한 원가
2. 직접노무원가(DL : Direct Labor Cost)
노무원가 중 특정 제품으로 직접 추적이 가능한 원가
3. 제조간접원가(OH: Manufacturing Overhead Cost)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이외의 모든 제조원가를 간접원가라고 한다
간접재료원가, 간접노무원가, 제조경비 등을 포함한다.
제조간접원가의 분류에서 중요한점은 제조간접원가는 제조원가의 일부이므로 제조활동과 관련되어 생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원가가 아니라면 제조간접원가에도 포함될 수 없다.
- 기초원가/기본원가 :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 가공원가/전환원가 : 직접노무원가 + 제조간접원가
3-2. 비제조원가(non-manufacturing cost)
비제조원가는 생산시설이 아닌 판매시설 또는 관리시설에서 발생한원가
생산시설에서 발생한 원가가 아니므로 제조간접원가로 분류해서는 안 되며, 판매비, 관리비, 기간비용 등으로 처리한다.
4. 원가의 분류(3) : 제조원가, 제품원가 및 기간비용
제조원가 | 생산시설에서 발생한 제조활동과 관련된 원가 |
제품원가 | 제품원가계산에 포함하는 원가 |
기간비용 |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하는 원가 |
1.제품원가
제품원가란 제품원가계산에 포함해야하는 원가로 재고가능 원가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에서는 제조원가를 모두 제품원가에 포함할 것을 요구 -> 제조원가와 제품원가가 일치 : 전부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 외의 원가계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원가 중 일부가 제품원가에 포함되지 않음 -> 제조원가와 제품원가가 일치하지 않음
전부원가계산 | 변동원가계산 | 초변동원가계산 | |
직접재료원가 | 제품원가 | 제품원가 | 제품원가 |
직접노무원가 | 기간비용 | ||
변동제조간접원가 | |||
고정제조간접원가 | 기간비용 |
기간비용 -> 제조원가이지만 제품원가에 포함X
2. 기간비용
기간비용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하는 원가 재고불가능원가
5. 원가의 분류(4) : 변동원가와 고정원가
원가 형태에 따라 분류 | 내용 |
변동원가 | 조업도의 증가에 따라 총원가가 증가 |
고정원가 | 조업도의 증가와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 |
원가행태란 일정기간 동안 관련범위 안에서 원가가 움직이는 모양을 의미하는데, 원가 행태에 따라 원가를 분류할 경우, 변동원가, 고정원가, 준변동원가, 준고정원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의사결정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원가를 분류하는 경우에는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를 주로 사용한다.
- 관련범위 : 실제기업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매우 복잡한 행태를 갖는데 회계학에서는 이를 매우 단순화 시켜 포현한다. 일정하게 제한된 범위 안에서는 이렇게 단순화한 원가 행태도 비교적 정확하게 원가를 예측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계학의 원가 행태가 성립하는 구간을 관련범위라고 한다.
- 원가행태를 장기간 대상으로 분석하게 되면 거의 모든 원가가 변동원가가 될 것이므로, 회계학에서 분석하는 원가 형태는 일정기간을 전제로한다.
1. 변동원가
변동원가는 조업도와 총원가가 정비례하는 원가를 말한다.
2. 고정원가
고정원가는 조업도와 관계없이 언제나 총원가가 일정한 원가를 말한다.
총원가 | 단위원가 | 해당되는 제조원가 | |
변동원가 | 조업도 증가에 따라 증가 | 일정 |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
고정원가 | 일정 | 조업도 증가에 따라 감소 | 고정제조간접원가 |
회계기간 별로 원가행태 또는 원가구조가 일정하다는 것은 변동원가는 단위원가, 고정원가는 총원가가 일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의사결정 등을 목적으로 원가를 형태별로분류하는 경우에는 변동원가는 단위원가, 고정원가는 총원가를 집계한다.
3. 준변동원가 와 준고정원가
준변동원가 또는 혼합원가란 고정원가와 변동원가가 합해진 형태의 원가를 말한다. 준변동원가는 결국 변동원가 부분과 고정원가 부분으로 구분할수 잇다.
준고정원가 또는 계단원가란 조업도 증가에 따라 총원가가 계단식으로 증가하는 원가를 말한다.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Cost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간접원가 배분 및 활동기준원가계산)-1절 간접원가 배분 (0) | 2023.10.04 |
---|---|
제1장-5절 제조기업의 원가 흐름 (0) | 2023.09.26 |
제1장-3절 관리회계의 개요 (0) | 2023.09.22 |
제1장-2절 원가 회계의 개요 (0) | 2023.09.22 |
제1장(원가관리회계의 시작)-1절 원가회계, 관리회계, 재무회계의 비교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