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ableau/Tableau basic

Tableau ch03 - 03. 이중축과 결합축 차트

--- 배울 것 ---

A. 이중축 차트
B. 결합축 차트
C. 이중축은 왜 중요한가? (비교 컨텍스트 만들기)
D. 도넛 차트 만들기 (목표 화면 리뷰 영상에서 확인)

 

 

 

A. 이중축 차트

 

 

위 차트는 매출과 수익에 대한 측정값이 동시에 표현한 모습이다. 이를 바인바 형태라고 부른다.

위와 같은 형태의 차트를 만들어보자.

 

 

이중축을 설정하는 방법은 측정값에서 오른쪽마우스를 눌러 이중축을 누르면된다.

 

또한 이중축을 설정하고 싶은 측정값을 아래와 같이 드래그해서 설정 할 수 도 있다.

 

 

 

이중축이 설정되면 자동으로 원형이 설정됬는데, 우리는 막대를 설정하고 싶으므로 마크카드에서 막대로 변경을 하자.

 

매출과 수익의 두개의 축의 스케일이 달라서

정확한 현황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익의 축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축 동기화를 설정한다.

 

 

그러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수익과 매출의 바 차트가 잘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익 차트의 크기를 줄이고 불투명도를 추가하면, 아래와 같은 바차트가 나온다.

 

 

 

다음에는 아래 차트를 만들어보자.

 

 

 

 

 

우선 Sales와 Discount를 행에 삽입한다. 이때 Discount가 이전에 자동으로 평균값으로 나타나도록 설정하여서 평균으로 나타났다는 것에 유의 해야한다. 이후, 매출은 막대, 할인률은 라인으로 설정하고 차트를 만들면 아래와 같다.

 

 

 

이후 이중축을 Discount에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가 만들어진다.

 

 

 

막대 그래프를 바그래프 뒤로 보내고 싶으면 측정값을 드래그해서 뒤로 보내면 된다.

 

 

 

B. 결합축 차트

 

 

결합 축의 예시를 보자.

 

 

분기에 따른 매출과 수익에대한 그래프를 만들어야한다. 우선 Order Date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옮기고, 연속형 분기를 설정한다. 

 

 

 

 

결합 축을 하고 싶은 수익 측정값을 현재의 측정값에 축 위로 드래그하면 결합축이 생성된다.

 

 

이중축과 다르게 마크 카드에 한개의 마크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경우는 매출과 할인률의 결합축이다. 이떄, 할인률을 매우 낮은 값을 가지고 있는데, 매출과 같은 축을 사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생성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이제 연습으로 이중축 + 결합축인 아래의 차트를 만들어 보자.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이용하여 Profit Ratio를 만들자.

 

 

 

PR 테이블를 결합축 방식으로 만들어보자.

 

 

여기서 prfit을 결합축 방식으로 넣게되면, 차이가 큰 값으로 인해 나머지 값이 표현이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중축으로 profit을 설정하여야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나온다.

 

 

또한 profit을 막대로 설정하였으므로, 마크카드에서 막대로 설정을 바꿔주면 목표했던 차트가 나오게 된다.

 

 

 

 

 

C. 이중축은 왜 중요한가? (비교 컨텍스트 만들기)

 

 

바 차트에서 표현된 것은 2020년도의 sales이다. 세로로 그어진 줄은 2017년도 sales의 2배의 값을 표현한 줄이다.

그러면, 회색 막대는 2020년의 매출이 2017년의 매출에서 2배가 된 것들을 나타낸다.

반대로 빨간 막대는 2배에 미치지 못한 것들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이중축 의미는, 이중축을 설정함으로써 2017년에 비해 2020년의 매출현황이 어느정도인지 명확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떤 부서가 조건을 충족했는지, 충족하지 못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이중축은 비교를 통해서 좀더 입체적인 판단이 가능해 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3가지의 다른 카테고리의 월에 따른 매출을 보여주고 있다.

 

3가지 카테고리의 매출들의 비교를 통하여, 특정 카테고리가 특정 월에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서 매출이 높게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이중축이 비교 문맥을 통해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Tableau > Tableau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bleau ch03 - 05. 지도  (0) 2022.09.02
Tableau ch03 - 04. 분석 패널  (0) 2022.09.02
Tableau ch03 - 02. 필터  (0) 2022.09.01
Tableau ch03 - 01. 데이터 준비  (1) 2022.09.01
Tableau ch02 - 06. 목표 화면 리뷰  (0)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