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게시글
-
Cost Accounting
5장(결합원가계산) -1절 결합제품(Joint Product)과 결합원가(Joint Cost)
Part05 결합원가계산 1절) 결합제품(Joint Product)과 결합원가(Joint Cost) 1. 결합제품과 결합원가의 정의 특정 산업에서는 공통의 원료를 공통의 공정에서 가공하여 여러 제품을 동시에 얻는다. 이 경우 특정 제품으로 원가를 얼마나 투입했는지를 추적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원가를 계산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10,000,000의 원가로 한우 한 마리를 구입한 후 ₩2,000,000의 가공원가로 다양한 부위의 소고기를 얻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다양한 부위의 소고기를 얻기 위한 전체원가는 ₩2,000,000인데, 소고기의 부위별 원가, 즉, 안심, 등심, 갈비살 등의 정확한 원가를 구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각 부위별로 원가를 별도로 투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부위별..
-
Cost Accounting
4장 -3절 후속공정의 원가계산
3절 후속공정의 원가계산 지금까지 살펴본 원가계산은 제조과정의 첫번째 공정을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공정별 생산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공정을 거처야 제품이 생산되므로, 두번째 이후의 공정, 즉 후속공정에 대한 원가계산도 필요하다. 후속공정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첫번째 공정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후속공정에서는 첫 번째 공정에서 대체된 원가인 전공정대체원가를 포함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점들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후속공정원가계산의 특징 ① 앞 공정의 완성품 수량 = 후속공정의 당기착수량 ② 앞 공정의 완성품 원가 = 후속공정의 당기투입 전공정 대체원가 ③ 기초, 기말재공품 및 공손품의 전공정대체원가 완성도 = 100% 즉, 전공정대체원가의 원가 완성도는 언제나 100% 예..
-
Cost Accounting
5장 -2절 연산품의 원가계산
5장 결합원가계산 - 2절 연산품의 원가계산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직접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인위적인 배부기준을 산정하여 배부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익, 비용 대응의 논리에 입각하여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배부한다. 결합원가를 각 연산품으로 배부할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물량 기준법 (physical measure method) ① 생산된 연산품의 물량을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부하는 방법 ② 측정이 쉽고 생산된 물량의 비율이 매년 유사하므로 한번 측정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③ 수익-비용 대응에 충실하지 않다. 예를 들어, 꽃등심 1KG과 사골 1KG에 같은 금액의 결합원가를 배부하게 되는데 이는 꽃등심이 훨씬 수익성이 높다는 점을 간과한 계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