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
1절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의 개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서는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방법을 전부원가계산(absorption costing)이라 한다. 재무제표 작성목적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따라야 하므로 전부원가계산에 의해 제품원가를 계산한다.
그러나 재무제표 작성이 아닌 기타의 목적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특정상황에서는 제조원가 중 일부가 제품원가에서 제외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방법에는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과 초변동원가계산(super-variable costing or throughput costing) 이 있다.
1. 전부,변동,초변동원가계산의 논리와 배경
전부원가계산(absorption costing)
①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한다. 특히,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한다.
② 고정제조간접원가를 포함한 모든 제조원가는 제품생산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③기업회계기준 및 세법에서 인정한다.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
①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제품원가에서 제외하고 판매관리비와 더불어 기간비용으로 처리한다.
②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제품생산량과 관계없이 항상 기간별로 일정하게 발생하므로 내부 관리 목적으로는 고정원가 성격의 제조원가를 제품원가에서 제외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제품의 생산보다 설비의 유지 및 운영과 더 관련되어 있는 원가라 보고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원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초변동원가계산(super-variable costing or throughput costing)
① 최근에는 정부규제 및 노사협약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 기업이 노무원가를 줄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무원가를 고정원가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한 제조 환경이 있다.
② 제조기업의 최근 생산환경은 자동화된 설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가공원가가 고정원가가 된다.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해 생산을 하는 경우 노무인력은 제품생산을 담당하기보다 설비의 유지, 운영에 관련한 업무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렇다면 제품 생산량과 관계없이 항상 비슷한 규모의 노무인력이 투입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제조간접원가는 설비의 감가상각비 및 수선유지비 같은 고정원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③ 위와 같이 최근 경영환경에서 가공원가가 고정비화 되는 것을 반영한 원가계산방법이 초변동원가계산이다.
④ 초변동원가계산에서는 모든 가공원가가 판매관리비와 더불어 기간비용으로 처리된다.
2. 원가계산방법에 따른 제품원가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Cost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3절 이익차이조정 (0) | 2023.11.30 |
---|---|
6장 -2절 전부, 변동, 초변동원가계산의 손익계산서 (0) | 2023.11.29 |
5장 -3절 부산물의 원가계산 (1) | 2023.11.23 |
5장 -2절 연산품의 원가계산 (2) | 2023.11.22 |
5장(결합원가계산) -1절 결합제품(Joint Product)과 결합원가(Joint Cost) (2)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