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st & Managerial Accounting/Cost Accounting

6장 -3절 이익차이조정

제 3절 이익차이조정

 

1.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이익

 

(1) 이익차이를 가져오는 원인 : 고정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처리

 

변동원가계산 : 당기 고정제조간접원가 총액을 기간비용으로 처리

전부원가계산 : 당기 고정제조간접원가 총액을 제품원가에 포함한 뒤 해당제품이 판매될 떄 비용으로 처리

 

 

 

 

(2) 비용처리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 : 선입선출법 가정

 

변동원가계산 : 당기에 비용처리 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가 기간비용이므로 당기에 발생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전액 비용으로 처리한다.

=> 당기에 비용처리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 : 당기 FOH

 

고정원가계산 : 제품이 판매될 때 해당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비용처리 한다. 선입선출법 하에서는 기초재고자산이 가장 먼저 판매되므로,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가장 먼저 비용으로 처리하고, 기말재고자산은 아직 판매되지 않았으므로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비용에서 취소하여 자산으로 계상한다.

=> 당기에 비용 처리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 : 기초재고의 FOH + 당기의 FOH - 기말재고의 FOH

 

 

 

 

(3) 이익차이 조정 : 선입선출법 가정

 

양 방법의 이익차이 원인

 

기초재고의 FOH만큼 전부원가계산에서 비용처리를 추가로 함 

=> 전부원가계산의 이익이 감소

기말재고의 FOH만큼 전부원가계산에서 비용처리를 적게 함

=> 전부원가계산의 이익이 증가

 

 

[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① ]

 

 

 

[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② ]

 

 

[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③ ]

 

상황 재고변화 이익의 크기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 전기와 당기의 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가 같을 경우 정확하게 성립하지만, 같지 않을 경우 성립하지 않을 수 있음

 

 

전부,변동,초변동 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비교

 

① 전부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DL + @VOH + @FOH )

 

② 변동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DL + @VOH )

 

③ 초변동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 따라서, 전부원가계산 기말재고액 > 변동원가계산 기말재고액 > 초변동원가계산 기말재고액

 

 

 

2. 초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

 

초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

 

① 전부원가계산 및 변동원가계산의 이익차이를 조정하는 논리와 동일하다. 다만, 대상 원가에 차이가 있다.

 

② 초변동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 변동가공원가(직접노무원가와 변동제조간접원가)의 자산화 여부에 따라 이익차이 발생

 

③ 초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가공원가의 자산화 여부에 따라 이익차이 발생 

 

 

[ 초변동원가계산과 변동 및 전부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① ]

 

 

 

[ 초변동원가계산과 변동 및 전부원가계산의 이익차이 조정② ]

 

상황 재고변화 이익의 크기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 초변동원가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 초변동원가
생산량 < 판매량 기초재고수량 > 기말재고수량 전부원가 < 변동원가 < 초변동원가

* 전기와 당기의 단위당 가공원가가 같을 경우 정확하게 성립하지만, 같지 않을 경우 성립하지 않을 수 있음



전부, 변동, 초변동 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비교

 

① 전부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DL + @VOH + @FOH )

 

② 변동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DL + @VOH )

 

③ 초변동원가계산의 기말재고자산금액 : 기말재고수량 x (@DM )

 

=> 따라서, 전부원가계산 기말재고액 > 변동원가계산 기말재고액 > 초변동원가계산 기말재고액

 

 

사례)

20X1년 초에 영업을 개시한 ㈜한국공항의 생산 및 판매자료와 원가자료는 아래와 같다. 아래의 자료를 이용해서 ㈜한국공항의 매년 변동원가계산 영업이익을 구하고,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으로 조정하시오 ( 단, ㈜한국공항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100이고, 선입선출법에 의해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있다. )

 

수량 20X1년 20X2년 20X3년
기초제품재고량 - 1,000 1,000
당기 생산량 3,000 2,000 3,000
당기 판매량 2,000 2,000 4,000
기말제품재고량 1,000 1,000 -

매년 단위당 변동원가                                   ₩50

매년 고정제조간접원가                                ₩60,000

매년 고정판매관리비                                    ₩20,000

 

 

예제 1)

 

20X1년 초에 설립된 ㈜한국공항은 단일제품을 생산하여 단위당 ₩30에 판매하고 있다. 20X1년과 20X2년의 생산 및 판매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20X1년 20X2년
생산량 25,000단위 30,000단위
판매량 22,000단위 28,000단위
변동제조원가 단위당 ₩8
고정제조원가 ₩150,000
변동판매비와관리비 단위당 ₩2
고정판매비와관리비 ₩100,000

20X2년도의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얼마인가? (단, 재공품은 없으며 원가흐름은 선입선출법을 가정한다.)

 

 

해설)

 

* 20X2년 변동원가계산영업이익 : ( ₩30 - ₩10 ) X 28,000단위 - ₩250,000 = ₩310,000

 

예제2)

㈜한국공항의 20X1년도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1,000,000이다. ㈜한국공항의 원가자료가 다음과 같을 경우 20X1년도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얼마인가? ( 단, 원가요소 금액은 총액이다. )

 

  수량(단위)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기초재공품 200 ₩50,000 ₩30,000 ₩20,000 ₩240,000
기초제품 400 ₩100,000 ₩70,000 ₩40,000 ₩700,000
기말재공품 500 ₩100,000 ₩65,000 ₩25,000 ₩500,000
기말제품 300 ₩75,000 ₩90,000 ₩35,000 ₩600,000
매출원가 1,000 ₩1,000,000 ₩750,000 ₩650,000 ₩2,000,000

 

해설)

 

 

 

예제3) 

㈜한국공항은 20X4년에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을 ₩42,000 보고하였다. 20X4년 회사의 원가자료를 검토한 결과 재공품은 존재하지 않았고 기초 제품 금액은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결과가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결과와 변동원가 계산에 의한 결과가 동일하였다. 20X4년에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해설)

*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제품금액차이는 고정제조간접원가의 포함여부에 달려있다. 따라서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기초제품금액이 ₩7,000만큼 크다는 의미는 기초제품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가 ₩7,000이라는 의미이다.

 

 

예제4) 

20X6년 초에 설립된 ㈜한국공항은 제품원가계산 목적으로 전부원가계산을, 성과평가목적으로는 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한다. 20X7년도 기초제품 수량은 2,000단위이고 기말제품 수량은 1,400단위 이었으며, 기초재공품의 완성품 환산량은 1,000단위이고 기말재공품의 완성품환산량은 800단위이었다.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20X6년도에 ₩10(이중 50%는 변동원가)이고 20X7년도에 ₩12(이중 40%는 변동원가) 이었다. 20X7년도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단, 회사의 원가흐름가정은 선입선출법이다.

 

해설)

* 기초 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 (2,000단위 + 1,000단위) X ₩10 X 50% = ₩15,000

* 기말 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 (1,400단위 + 800단위) X ₩12 X 60% = ₩15,840

* 영업 이익 차이 : ₩15,840 - ₩15,000 =  ₩ 840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이 더 크다.)

 

 

예제5)

20X0년 초 설립된 ㈜한국공항의 20X0년과 20X1년의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한국공항의 20X1년도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이 ₩ 3,000,000이라면, 초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얼마인가? (단, ㈜한국공항은 선입선출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재공품은 존재하지 않음)

 

  20X0년 20X1년
기초제품수량 - 3,000개
당기생산량 10,000개 11,000개
판매량 7,000개 9,000개
기말제품수량 3,000개 5,000개
직접노무원가 ₩300,000 ₩330,000
변동제조간접원가 ₩240,000 ₩264,000
고정제조간접원가 ₩500,000 ₩506,000
변동판매비 ₩35,000 ₩45,000
고정판매비 ₩20,000 ₩20,000



해설)

* 20X0년(기초재고) 단위당 가공원가 : (₩300,000+₩240,000+₩500,000) ÷ 10,000개 = ₩104

* 20X1년(기말재고) 단위당 가공원가 : (₩330,000+₩264,000+₩506,000) ÷ 11,000개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