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 & Managerial Accounting/Cost Accounting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4장 -2절 선입선출법과 평균법 제2절 선입선출법과 평균법 1. 선입선출법에 의한 종합 원가 계산 선입선출법에 의한 종합원가 계산 특징 ① 선입선출법에서는 기초재공품은 당기에 완성되고 당기착수량 중 일찍 투입한 물량은 완성, 나중에 투입한 물량은 기말재공품으로 남는다. * 당기착수량 중 당기에 완성한 물량을 당기착수완성품 이라 부른다. ② 기초재공품은 모두 완성품이 되므로 기초재공품 원가는 별도의 계산과정 없이 모두 완성품 원가에 포함된다. ③ 당기투입원가는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로 안분되므로 완성품환산량 단위당원가를 이용하여 각 계정으로 원가를 안분한다. ④ 공정별 생산에서는 실제 물량이 선입선출의 형태로 일어나므로 선입선출법은 실제 물량흐름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방법이다. ⑤ 선입선출법에서 계산한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당기.. 4장(종합원가계산) -1절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04장 종합원가계산 1절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종합원가계산(Process costing) 공정에 투입한 원가를 완성품 환산량을 기준으로 하여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에 배분하는 원가계산 방법 평균화의 원리 종합원가계산은 평균화의 원리를 이용하여 완성품환산량 단위당원가를 산출한 후 해당 단위당 원가를 원가계산에 활용 원가계산준칙 제 19조 종합원가계산 ① 종합원가계산은 동일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제품을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생산형태에 적용한다. ② 종합원가계산의 단위당 원가는 발생한 모든 원가요소를 집계한 당기총 제조비용에 기초재공품원가를 가산한 후 그 합계액을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에 안분계산함으로써 완성품총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제품단위에 배분하여 산정한다. ③ 종합원가계산에.. 3장 -3절 정상개별원가계산 3절 정상개별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하에서는 원가계산 대상기간을 늘릴수록 원가계산의 적시성이 낮아지고, 대상기간을 줄일수록 원가의 안정성이 낮아지게 된다. 원가정보의 적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법이 정상원가계산(normal costing) 또는 평준화 계산이다. 1. 정상원가계산의 의의 정상원가계산(normal costing) 1)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실제원가 사용(= 실제원가계산) 2) 제조간접원가는 예정배부율을 사용하여 예정배부 3) 제조간접원가에 대해 예정배부율을 사용하므로 원가정보의 적시성을 높일 수 있음 4) 회계기간 동안 동일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을 모든 작업에 적용하므로 원가 정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2. 원가계산절차 *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 실제원가를 각 .. 3장 -2절 실제개별원가계산 1. 의의 실제개별원가계산은 모든 제조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앞서 실펴본 사례가 실제 개별원가 계산에 해당한다. 2. 장점과 단점 (1) 장점 1) 실제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므로 적용이 용이하고, 제무제표에 쉽게 반영할 수 있다. 2) 실제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므로 제조간접원가 및 배부기준에 대해 예산을 추정할 필요가 없다. (2) 단점 1)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진다. 실제원가는 회사가 주기적인 결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원가정보이므로, 회사가 결산을 수행하기 전이라면 실제 원가 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원가 정보가 필요한 적시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2) 실제원가계산 하에서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짧은 기간별로 원가계산을.. 제3장(개별원가계산) -1절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제1절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개별원가계산 (job order costing) 개별 작업별로 원가를 별도로 집계하고 계산하는 방법 원가계산준칙 제 18조 개별원가계산 1) 개별원가계산은 다른 종류의 제품을 개별적으로 생산하는 생산형태에 적용하며, 각 제조지시서별로 원가를 산정한다. 2) 제조간접비의 제품별 배부액은 각 제조부문별, 소공정별 또는 작업단위별로 예정 배부율 또는 실제 배부기준에 의하여 배부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제조부문에 배부하지 않고 직접 제품에 부과할 수 있다. 조선업, 건설업, 전문서비스업 등과 같이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생산을 하고, 특정 제품이 다른 제품과 구분되어 가공되는 경우에는 개별 작업별로 구분하여 각 제품의 원가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 방법을 개별원가계산(jo.. 제2장-3절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Based Costing : ABC) 활동기준원가계산 기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활동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분함으로써 정확한 원가와 성과를 측정하는 원가 계산 방법. 투입자원이 제품이나 서비스로 바뀌는 과정을 정확하게 밝혀 그 원가를 산정한다. 본절에서는 주로 제조기업의 제조간접원가를 대상으로 활동기준원가 계산을 설명하지만, 활동기준원가계산은 제조기업 뿐만아니라 서비스 기업이나 비영리 법인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판매관리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도입배경 1. 전통적원가계산에서는 제조간접원가를 주로 단일의 배부기준을 이용해 제품에 배부하는데 이는 제품원가 계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관련된 의사결정 상황에서 적절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 실무적으로 제조간접원가 배부 시 사용하는 배부기준은 제품, 생산량 비율, 직접노무.. 제2장-2절 보조부문 원가배분 제2절 보조부문 원가배분 1. 제조 부문과 보조 부문 제조 부문(production department) : 직접 제조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 보조 부문(service department) : 직접 생산활동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제조부문을 지원, 보조하는 부문. 지원부문(support department)이라고도함. 시설관리, 청소, 경비 용역 등을 제공하는 부문을 예로 들 수 있음 재조부문의 원가 직접 제품생산활동을 수행하므로 일부 원가는 직접 체품으로 추적이 가능 일부 원가는 여러 제품에 공통으로 투입하므로 직접 제품으로 추적이 불가함 => 제조간접원가 일부 존재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는 제조부문이 각 제품에 투입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시간 등을 배분기준으로 하여 각 제품으로 배분함 => 제조간접원가 배.. 제2장(간접원가 배분 및 활동기준원가계산)-1절 간접원가 배분 제1절 간접원가 배분 1. 직접원가와 간접원가 직접원가 : 특정 원가 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있는 원가 간접원가 : 특정 원가 대상에 직접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 간접원가는 합리적인 배분기준을 선정하여 원가대상으로 배분해야하는데, 간접원가를 정확하게 배분하여야 원가 계산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다만, 간접원가 특성상 정확한 배분은 매우 어렵다. 2. 간접원가 배분기준 인과관계 기준 : 원가를 더 많이 발생시킨 대상이 원가를 더 많이 배분 받게 하는 방법 가장 합리적 이지만, 간접원가 특성상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 ex) 전력비를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원가 대상에 배분한다. 수혜기준 : 원가 발생과 관련하여 수혜를 많이 받은 대상이 원가를 더 많이 배분 받게하는 방법 -> ex)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