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st & Managerial Accounting/Cost Accounting

3장 -2절 실제개별원가계산

1. 의의

실제개별원가계산은 모든 제조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앞서 실펴본 사례가 실제 개별원가 계산에 해당한다.

 

 

2. 장점과 단점

 

(1) 장점

 

1) 실제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므로 적용이 용이하고, 제무제표에 쉽게 반영할 수 있다.

 

2) 실제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므로 제조간접원가 및 배부기준에 대해 예산을 추정할 필요가 없다.



(2) 단점

 

1)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진다. 실제원가는 회사가 주기적인 결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원가정보이므로, 회사가 결산을 수행하기 전이라면 실제 원가 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원가 정보가 필요한 적시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2) 실제원가계산 하에서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짧은 기간별로 원가계산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각 기간의 원가 배부율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회사의 매월 감가상각비는  ₩ 100,000으로 일정한데, 1월에는 회사가 1000개를 생산하고, 2월에는 500개를 생산한다고 가정하면, 1월의 감가상각비 배부율은 단위당  ₩100, 2월의 배부율은 단위당 200이 될것이다. 이렇게 월별 배부율이 달라지면 같은 제품에 대해서도 원가와 수익성이 매월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실제배부율을 1년의 기간을 대상으로 계산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더욱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실제원가계산 하에서는 원가 계산 대상기간을 늘릴 수록 원가 계산의 적시성이 낮아지고, 대상기간을 줄일 수록 원가의 안정성이 낮아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