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절 정상개별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하에서는 원가계산 대상기간을 늘릴수록 원가계산의 적시성이 낮아지고, 대상기간을 줄일수록 원가의 안정성이 낮아지게 된다. 원가정보의 적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법이 정상원가계산(normal costing) 또는 평준화 계산이다.
1. 정상원가계산의 의의
정상원가계산(normal costing)
1)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실제원가 사용(= 실제원가계산)
2) 제조간접원가는 예정배부율을 사용하여 예정배부
3) 제조간접원가에 대해 예정배부율을 사용하므로 원가정보의 적시성을 높일 수 있음
4) 회계기간 동안 동일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을 모든 작업에 적용하므로 원가 정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2. 원가계산절차
*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 실제원가를 각 작업에 직접 추적(= 실제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 : 기초에 결정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을 이용하여 각 작업에 배부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제조간접원가 예산 ÷ 배부기준 예산 (또는 기준조업도)
● 각 작업에 제조간접원가 배부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x 실제 조업도(실제배부기준수)
3. 장점과 단점
정상개별원가계산의 장점 및 단점은 실제개별원가계산의 장점 및 단점을 반대로 한 것이다.
[실제개별원가계산과 정상개별원가계산의 비교]
실제개별원가계산 | 정상개별원가계산 | |
장점 | 1. 적용이 용이하고 재무제표에 쉽게 반영 2. 예정배부율 추정 불필요 |
1.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높아짐 2. 원가정보의 안정성이 높아짐 |
단점 | 1. 원가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짐 2. 원가정보의 안정성이 떨어짐 |
1. 배부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조정해야 함 2. 예정배부율을 추정해야 함 |
4.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계산
1. 과소(부족)배부 :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2. 과대(초과)배부 :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사례)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다음은 (주)한국공항과 (주)대한항공의 자료이다. (주)한국공항과 (주)대한항공의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구하시오.
● 당기의 예산자료
(주)한국공항 | (주)대한항공 | |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 | 기계시간 | 직접노무원가 |
제조간접원가 예산 | ₩ 100,000 | ₩ 200,000 |
추정기계시간 | 10,000 시간 | 15,000 시간 |
직접노무원가예산 | ₩ 80,000 | ₩ 55,000 |
● 당기의 실제자료
(주)한국공항 | (주)대한항공 | |
실제 제조간접원가 | ₩ 98,000 | ₩ 190,000 |
실제기계시간 | 9,500 시간 | 13, 500시간 |
실제직접노무원가 | ₩ 88,000 | ₩ 55,000 |
해설)
● (주)한국공항의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 100,000/10,000시간 = ₩ 10/기계시간
● (주)대한항공의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 200,000/₩ 50,000 = ₩ 4/직접노무원가
사례) 정상개별원가계산의 적용
(주) 한국공항은 당기 초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당기에 작업 #1, 작업 #2, 작업 #5을 착수하였다. (주) 한국공항은 정상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고 있는데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은 직접노무원가 이며, (주) 한국공항이 연초에 예상한 직접노무원가는 ₩ 120,000, 연초에 예상한 제조간접원가는 ₩ 84,000이다. #1은 당기에 완성되어 판매하였으며, #2는 완성되었으나 미판매 상태에 있고, #3은 기말 현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각 작업과 관련된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작업#1 | 작업#2 | 작업#3 | 작업#4 | |
직접재료원가 | ₩ 30,000 | ₩ 20,000 | ₩ 40,000 | ₩ 90,000 |
직접노무원가 | ₩ 40,000 | ₩ 35,000 | ₩ 25,000 | ₩ 100,000 |
당기 중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은 ₩ 80,000이다. 정상개별원가계산을 이용한 (주)한국공항의 재공품계정과 제품계정을 보이고 배부차이를 구하시오
해설)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기초에 결정) : ₩ 84,000 / ₩ 120,000 = ₩ 0.7 / 직접노무원가
● 당기제품제조원가 : 작업#1과 작업#2의 원가 = ₩ 177,500
● 기말재공품원가 : 작업#3의 원가 = ₩ 82,500
● 매출원가 : 작업#1의 원가 = ₩ 98,000
● 기말제품원가 : 작업#2의 원가 = ₩ 79,500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 ₩ 80,000(실제발생액) - ₩ 70,000(예정배부액) = ₩ 10,000(과소배부)
5.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 위 그림에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200)은 최종적으로 기말 재공품(50), 기말제품(50), 매출원가(100)에 귀속됨을 알 수 있다.
위의 T계정을 살펴 보면 재공품 계정 차변에 기입된 당기총제조원가는 최종적으로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에 귀속뒴을 알 수 있다. 즉, 기초재공품이 없는 경우, ‘당기총제조원가 = 기말재공품원가 + 기말제품원가 + 매출원가’가 성립할 것이다.
(1) 제조간접원가 과소(부족) 배부
앞의 예시에서 기말에 실제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이 ₩ 300으로 확정된다면 제조간접원가 계정은 아래와 같이 분석된다.
과소배부는 기말 실제 제조간접원가에 비해 기중에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를 적게 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적게 배부한 제조간접원가를 기말에 ₩ 100만큼 추가로 배부한다. 최초에 배부한 제조간접원가 ₩ 200이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에 귀속되어 있으므로 추가로 배부하는 ₩ 100도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로 배부한다. 따라서 기말 배부차이 조정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분개를 수행한다.
(2) 제조간접원가 과대(초과) 배부
앞의 예시에서 기말에 실제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이 ₩ 150으로 확정된다면 제조간접원가 계정은 아래와 같이 분석된다.
과대배부는 기말 실제 제조간접원가에 비해 기중에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를 많이 해서 발생하는 것 이다. 따라서 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초과로 배부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 50 만큼을 기말에 차감한다. 최초에 배부한 제조간접원가 ₩ 200이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에 귀속되어 있으므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을 차감할 때도 기말 재공품, 기말 제품,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따라서 기말 배부차이 조정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분개를 수행한다.
위해서 살펴본 배부차이 조정방법을 원가요소법이라 하는데 이 방법은 논리적으로 정확한 조정이므로 원가요소법으로 배부차이를 조정하면 실제원가계산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원가요소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배부차이를 조정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3) 다양한 배부차이 조정 방법
1) 매출원가 조정법
매출원가 조정법은 배부차이를 전액 매출원가에서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면 기말재공품과 기말제품의 제조간접원가는 계속 예정 배부액으로 기록된다. 매출원가 조정법은 매출원가 금액에 비해 기말재공품 및 제품 금액이 매우 적거나, 배부차이 금액이 중요하지 않을 때 편의상 사용한다.
- 과소배부일 경우 : 적게 배부된 제조간접원가를 전액 매출원가에 추가로 배부
- 과대배부일 경우 : 초과 배부된 제조간접원가를 전액 매출원가에서 차감
2) 영업외손익법
영업외손익법은 배부차이를 전액 영업외 손익에서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면 기말 재공품과 기말제품 및 매출원가의 제조간접원가는 계속 예정배부액으로 기록된다. 당기에 발생한 배부차이가 원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 과소배부일 경우 : 적게 배부된 제조간접원가를 전액 영업외 비용으로 처리
- 과대배부일 경우 : 초과 배부된 제조간접원가를 전액 영업외 수익으로 처리
3) 안분법(비례배분법)
안분법은 배부차이를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및 매출원가에서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 합리적인 방법이다. 비례배분법은 배부차이를 조정할 때 그 비율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원가요소법과 총원가기준법이 있다.
① 원가요소법
원가요소법은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및 매출원가에 포함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의 비율에 따라 배부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 정확한 방법이며, 원가요소법으로 배부차이를 조정하게 되면 실제원가계산을 적용할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예정배부 + 원가요소법 = 실제원가계산’이 성립한다.
앞의 예시에서 살펴본 방법이 원가요소법이다.
② 총원가기준법
총원가기준법은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및 매출원가의 총원가 비율에 따라 배부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및 매출원가 모두에서 배부차이를 조정한다는 점에서는 합리적인 방법이지만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와 관계없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금액을 포함한 총원가 비율로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조정한다는 점에서 정확하지 않은 방법이다.
사례) 배부차이 조정
㈜한국공항은 당기 초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당기에 작업 #1, 작업 #2, 작업 #3을 착수하였다. ㈜한국공항은 정상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고 있는데,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은 직접노무원가 이며, ㈜한국공항이 연초에 예상한 직접노무원가는 ₩ 120,000, 연초에 예상한 제조간접원가는 ₩ 84,000 이다. #1은 당기에 완성되어 판매하였으며, #2는 완성되었으나 미판매 상태에 있고, #3은 기말 현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각 작업과 관련된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작업 #1 | 작업 #2 | 작업 #3 | 합계 | |
직접재료원가 | ₩ 52,000 | ₩ 30,500 | ₩ 47,500 | ₩ 130,000 |
직접노무원가 | ₩ 40,000 | ₩ 35,000 | ₩ 25,000 | ₩ 100,000 |
당기 중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은 ₩ 80,000이다. ㈜한국공항이 배부차이 조정방법으로 매출원가 조정법, 원가요소법, 총원가기준법을 사용할 경우 각각에 대해서 배부차이를 조정하는 회계처리를 보이시오.
해설)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기초에 결정) : ₩ 84,000 / ₩ 120,000 = ₩ 0.7 / 직접노무원가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Cost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2절 선입선출법과 평균법 (1) | 2023.11.03 |
---|---|
4장(종합원가계산) -1절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0) | 2023.10.30 |
3장 -2절 실제개별원가계산 (0) | 2023.10.24 |
제3장(개별원가계산) -1절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1) | 2023.10.23 |
제2장-3절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Based Costing : ABC) (0)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