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절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1.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의 의의
앞서 살펴본 관련원가 분석에서는 의사결정과 관련한 수치들을 회사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의사결정과 관련한 미래의 상황은 대부분 불확실하다. 미래가 불확실하다 해도 회사는 미래를 대비하여 현재에 끊임없는 의사결정을 해야한다. 예를 들어.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의 내년 수요량이 불확실하다 해도 회사는 다양한 제품 중 어떤 제품을 생산할지, 어떤 생산방법을 선택할지, 노무인력을 얼마나 채용할지 등의 문제를 미리 결정해야 한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수행하는 의사결정을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이라 한다.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은 주로 이익성과표를 이용하여 계산하는데 이익성과표의 작성방법은 아래와 같다.
[이익성과표 작성방법]
① 회사가 선택 가능한 대안들을 세로축에 열거한다.
② 불확실한 미래의 상황을 가로축에 열거하고 각 상황에 대해 예측되는 확률 값을 부여한다.
③ 특정 대안을 선택한 후 각각의 미래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의 이익을 계산한다.
[이익성과표 예시]
<불확실한 상황> 경기 호황(60%) |
<불확실한 상황> 경기 불황(40%) |
|
<대안1> 제품A를 생산 | 성과(이익) 계산 | 성과(이익) 계산 |
<대안2> 제품B를 생산 | 성과(이익) 계산 | 성과(이익) 계산 |
2. 최적대안의 선택
(1) 기대이익(expected value or expected profit) 기준
기대이익기준이란 각 대안별로 이익의 기대값을 구한 후에 그 값이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의사결정 기준은 기대이익기준이다.
사례) 기대이익기준
㈜ 한국공항은 제품 A와 제품 B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각 제품과 관련한 원가정보는 아래와 같다.
내년의 경기 상황에 따른 제품판매량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호황(60%) | 불황(40%) | |
제품A의 판매량 | 700단위 | 500단위 |
제품B의 판매량 | 500단위 | 200단위 |
기대이익기준에 의해 의사결정을 한다면 ㈜ 한국공항은 제품 A와 제품 B 중 어느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는가?
해설)
* 이익성과표
호황(0.6) | 불황(0.4) | |
제품A를 생산 | 700단위x500 - 100,000 = 250,000 | 500단위 x 500 - 100,000 = 150,000 |
제품B를 생산 | 500단위x900 - 120,000 = 330.000 | 200단위x900 - 120,000 = 60,000 |
* 제품A의 기대영업이익 : ₩250,000 x 60% + ₩150,000 x 40% = ₩210,000
* 제품B의 기대영업이익 : ₩330,000 x 60% + ₩ 60,000 x 40% = ₩222,000
* 제품B의 기대영업이익이 더 큼므로 제품B를 생산한다.
2) 기대효용(expected utility) 기준
기대 효용기준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자가 효용함수를 알아야하는데 효용함수의 형태는 의사결정자의 위험에 대한 태도에 따라 위험중립형, 위험회피형, 위험선호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시험에서는 주로 위험회피형을 다룬다. 위험회피형 효용함수의 대표적인 형태에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효용함수]
사례) 기대효용기준
㈜ 한국공항은 제품 A와 제품 B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각 제품과 관련한 원가정보는 아래와 같다.
내년의 경기 상황에 따른 제품판매량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호황(60%) | 불황(40%) | |
제품A의 판매량 | 700단위 | 500단위 |
제품B의 판매량 | 500단위 | 200단위 |
㈜ 한국공항의 의사결정자인 홍길동 씨의 효용함수는 다음과 같다.
(단, W = 화폐금액)
기대효용기준에 의해 의사결정을 한다면 홍길동 씨는 제품 A와 제품 B 중 어느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는가?
* 이익성과표
호황(0.6) | 불황(0.4) | |
제품A를 생산 | 700단위x500 - 100,000 = 250,000 | 500단위 x 500 - 100,000 = 150,000 |
제품B를 생산 | 500단위x900 - 120,000 = 330.000 | 200단위x900 - 120,000 = 60,000 |
* 효용성과표
* 제품A의 기대효용 : 500 x 60% + 387 x 40% = 454.8
* 제품B의 기대효용 : 574 x 60% + 245 x 40% = 442.4
* 제품A의 기대효용이 더 크므로 제품A를 생산한다.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Managerial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장 - 2절 성과평가의 일반사항 (0) | 2024.01.18 |
---|---|
9장 표준원가 - 1절 종합예산 (0) | 2024.01.18 |
8장 -3절 관련원가 분석의 사례 (2) | 2024.01.03 |
8장 -2절 관련원가분석의 기초 (0) | 2023.12.26 |
8장 의사결정과 관련원가 -1절 의사결정의 분류 (1)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