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표준원가
제1절 종합예산
1. 종합예산(master budget)의 의의
기업을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해서는 항상 계획이 필요하다. 계획은 회사가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행동지침을 제공해주고 기업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대비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양의 원재료를 구매하며, 현금을 부족하지 않게 보유하는 데 있어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에 회사가 수립한 계획을 미리 제무제표로 표시한 것이 예산(budget)이다. 예산은 각 부문별로 작성할 수도 있지만 부문 간의 소통과 유기적인 협력을 위해 회사 전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를 종합예산(master budget)이라 한다.
회사가 종합예산을 편성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유용성을 갖는다.
종합예산의 유용성
① 회사의 미래에 대한 예상과 준비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② 예산을 결산과 비교하여 회사 전체 및 각 부문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당기성과를 파악할 때는 전기의 실제 수익 및 원가자료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지만, 예산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③ 종합예산 편성과정에서 각 부문이 서로 소통과 조정을 하게 되므로 각 부문의 유기적인 협력관계에 도움을 준다.
한편, 종합예산은 아래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종합예산의 구분
① 영업예산(operating budget) : 매출, 생산, 원재료, 노무 등에 관한 예산으로 매출예산, 제조예산, 원재료예산, 판매관리비 예산 등을 포함한다. 매출예산에서 출벌하여 예산손익계산서 작성으로 마무리 되어, 운영예산이라고도 한다.
② 재무예산(financial budget) : 자금조달 및 장기성자산 취득에 대한 예산으로 현금예산, 자본예산, 예산재무상태표 등을 포함한다.
2. 예산의 종류
(1) 예산편성 주체에 따른 분류
예산편성 주체에 따라
① 권위적 예산(authoritative budget) : 상위부서에서 예산을 편성하여 하위부서로 하달하는(top-down) 방식의 예산이다. 회사전체의 목표 또는 계획을 예산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하위부서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잇고, 상위부서에서 구체적인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효용성이 낮은 방법이다.
② 참여예산(participative budget) : 하위부서에서 편성하여 상위부서로 제출하는 예산이다. 실무자들이 직접 예산편성에 참여하므로 구체적인 현장의 상황을 예산에 반영할 수 잇고, 실무자들의 책임감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예산 슬랙이 발생 시킬 가능성이 높은 방법이다.
* 예산슬랙(budgetary slack)이란 예산이 성과평가의 기준으로 쓰일 경우 수익예산을 낮게 편성하거나 비용예산을 높게 편성하는 방법으로 예산을 왜곡시키는 성향을 말함
③ 절충예산(catch-ball budget) : 상위부서에서 회사전체의 목표와 계획에 대해 하위부서에 통보하면 하위부서에서 구체적인 예산을 수립하여 상위부서로 제출한 후, 예산안을 상위부서와 하위부서가 서로 절충하여 최종예산을 확정하는 방식의 예산이다.
④ 협의예산(consulative budgeting) : 상위부서에서 하위부서의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예산은 상위부서에서 확정하는 방식의 예산이다.
(2) 과거예산 활용여부에 따른 분류
과거예산 활용 여부에 따라
① 증분예산(incremental budget) : 과거의 예산이나 실제 성과를 조정하여 편성하는 예산이다.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나 과거의 비효율을 그대로 포함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② 영기준예산(zero-based budget) : 모든 항목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편성하는 예산이다. 효율적인 예산편성이 가능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③ 영기준검토(zero-based review) : 위 두가지 예산의 절충안으로 주요 항목에 대해서만 수년에 한번씩 영기준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이다.
(3) 예산편성 기간에 따른 분류
예산편성 기간에 따라
① 기간예산(period budget) : 1년, 1분기, 1개월 등 정해진 기간에 대해 편성하는 예산이다. 회계기간에 맞추어 예산을 편성하는 편리함이 있지만 회계기간 말에 가까워질수록 구성원들이 근시안적 행동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③ 계속예산(rolling budget) : 현 시점으로부터 항상 일정기간 단위를 유지하여 (예를들어, 1년) 편성하는 예산이다. 항상 장기적인 시각에서 예산을 편성하고 행동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예산 편성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4) 예산편성 시점에 따른 분류
예산편성 시점에 따라
① 고정예산(static budget) : 예산 조업도를 기준으로 사전에 편성한 예산
② 변동예산(flexible budget) : 실제 조업도를 기준으로 사후적으로 편성한 예산
3. 영업예산과 현금예산
(1) 영업예산 편성 순서
영업예산 편성 순서
① 매출(판매량) 예산 : 다음 회계연도에 제품을 얼마나 판매할 수 있을지에 대한 예산을 편성한다. 판매량 예산은 생산예산 편성을 위한 기준수량이 된다.
② 생산(제조)예산 : 다음 회계연도의 생산량에 대한 예산을 편성한다. 이 때 회사의 기초 및 기말 제품 재고보유정책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제품 T계정을 활용한다.
* 만약 기초 및 기말 재공품이 존재한다면 생산예산 편성의 다음 과정으로 재공품예산을 편성한다. (재공품 T계정 활용)
③ 제조원가예산 : 제조원가요소별로 소요될 원가 예산을 편성한다. 다른 원가요소들과 달리 직접재료원가는 원재료 구입이라는 추가적인 절차가 있으므로 원재료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예산편성 절차를 수행한다.
④ 원재료 구매 예산 : 원재료 구매에 대한 예산을 편성한다. 이 때 회사의 기초 및 기말 원재료 재고보유정책을 감안하며, 일반적으로 원재료 T계정을 활용한다.
* 제조과정과 관련한 예산 중 가장 마지막으로 편성되는 예산이 원재료구매예산이다.
* ① ~ ④ 의 예산편성과정을 보면, 결국 제품원가 계산의 역순으로 예산이 편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매출원가예산 : 예산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매출원가 예산을 편성한다.
⑥ 판매관리비 예산 : 예산손익계산서에 보고될 판매관리비 예산을 편성한다. 일반적으로 변동 판매관리비와 고정판매관리비로 구분하여 예산을 편성한다.
⑦ 예산손익계산서 작성 : 영업예산은 위 내용들을 반영한 예산손익계산서 작성으로 마무리 한다.
(2) 현금예산
현금예산
① 기업이 높은 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보유 현금이 부족하면 회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기업은 항상 적정수준의 현금을 보유해야하고, 이를 위해 편성하는 것이 현금예산이다.
② 현금예산은 예산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 절차인데, 종합예산에서는 주로 영업활동 관련 현금흐름에 대해서만 다루고 투자 및 재무활동 현금흐름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③ 현금예산 편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기업의 매출채권 회수 정책과 매입채무(원재료 또는 상품 매입 관련) 지급 정책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사례)
㈜ 한국공항은 20X1년 1월 초에 당기예산을 편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원가정보를 수집하였다.
㈜ 한국공항의 20X0년 12월 실제 판매량과 20X1년 1월, 2월, 3월의 예상판매량은 다음과 같다.
12월 | 1월 | 2월 | 3월 |
5,500단위 | 6,000단위 | 5,000단위 | 5,800단위 |
※ 추가자료
(1) ㈜한국공항은 모든 매출을 외상으로 한다. 매출액 중 40%는 매출 당월에 회수하고 58%는 다음달에 회수하며 나머지 2%는 매출 당월에 대손으로 처리한다.
(2) ㈜한국공항은 원재료 매입액을 제왜한 모든 비용을 발생한 달에 지급한다. 원재료 매입액은 매입 당월에 60%, 다음달에 40%를 지급한다.
(3) ㈜한국공항은 기말재고로 다음 달 판매량의 20%에 해당하는 완제품과 다음 달 생산에 필요한 수량의 30%에 해당하는 원재료를 보유한다.
(4) ㈜한국공항은 원가흐음의 가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며, ㈜ 한국공항의 단위당 변동원가와 고정원가 총액은 매월 동일하다. ㈜ 한국공항의 1월초 현금 잔액은 ₩100,000이다.
(1) ㈜한국공항의 12월, 1월, 2월의 제조(생산)예산을 편성하시오.
(2) ㈜한국공항의 12월과 1월의 원재료 구매량을 구하시오.
(3) ㈜한국공항의 1월 현금예산을 편성하시오.
(4) ㈜한국공항의 1월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시오.
해설)
(1)
(2)
(3)
(4)
예제01)
㈜한국공항은 단일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제품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직접재료 0.5kg이 필요하고, 직접재료의 kg당 구입가격은 ₩10이다. 1분기 말과 2분기 말의 재고자산은 다음과 같이 예상된다.
2분기의 제품 판매량이 900단위로 예상될 경우, 2분기의 직접재료 구입예산은? (단, 각 분기말 재공품 재고는 무시한다.)
해설)
예제02)
㈜한국공항은 매입원가의 130%로 매출액을 책정한다. 모든 매입은 외상거래이다. 외상매입액 중 30%는 구매한 달에, 70%는 구매한 달의 다음달에 현금으로 지급된다. ㈜한국공항은 매월말에 다음달 예상 판매량의 25%를 안전재고로 보유한다. 20x1년도 예산자료중 4월, 5월, 6월의 예상 매출액은 다음과 같다.
4월 | 5월 | 6월 | |
예상 매출액 | ₩ 1,300,000 | ₩ 3,900,000 | ₩ 2,600,000 |
20X1년 5월에 매입대금 지급으로 인한 예상 현금지출액은? (단, 4월, 5월, 6월의 판매단가 및 매입단가는 불변)
해설)
1. 매입액을 구하기 위해 매출액을 매출원가로 전환 (매출액 ÷ 130%)
4월 | 5월 | 6월 | |
예상 매출원가 | ₩ 1,000,000 | ₩ 3,000,000 | ₩ 2,000,000 |
2. 4월 및 5월의 재고자산
3. 5월 매입대금 지급 : ₩ 1,500,000 X 70% + ₩ 2,750,000 X 30% = ₩ 1,875,000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Managerial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장 - 3절 표준원가 (1) | 2024.01.24 |
---|---|
9장 - 2절 성과평가의 일반사항 (0) | 2024.01.18 |
8장 -4절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1) | 2024.01.05 |
8장 -3절 관련원가 분석의 사례 (2) | 2024.01.03 |
8장 -2절 관련원가분석의 기초 (0)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