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사내대체거래
제1절 대체거래의 의의
1. 사내대체거래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각 부문사이에 거래가 발생한다. 각 부문은 별도의 이익으로 평가를 받게 되므로, 부문 간 거래에서 얼마의 가격을 책정할 것인지는 부문 관리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공급 사업부가 투입한 원가를 거래가격으로 산정할 것인가? 아니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부문간 거래에도 적용할 것인가? 이와 같은 문제는 각 부문과 회사전체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
기업 내부에서 사업부 간에 재화나 용역을 거래하는 것을 사내대체(internal transfer), 사내이전, 내부거래 등 다양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해당 거래에 적용되는 가격을 (사내)대체가격(transfer price ; TP)이라 한다.
사내대체거래에서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는 사업부를 공급사업부, 구매하는 사업부를 구매사업부라 하는데 대체가격을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공급사업부와 구매사업부 및 회사전체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사업부 및 회사전체 입장에서 대체가격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회사전체 및 각 사업부와 대체가격]
<회사전체>
① 공급사업부의 수익과 구매사업부의 원가가 상쇄되므로 대체가격을 얼마로 설정하든 회사전체의 이익은 변하지 않는다.
② 다만, 대체가격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목표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목표일치성이 달성되도록 대체가격을 설정해야한다.
③ 대체가격은 회사전체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대체가격의 범위는 회사전체 이익과 관계가 있으므로 대체가격의 범위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잘못된 대체가격 결정 시 회사전체 입장에서 준 최적화가 발생하는 이유
: 예를 들어, 회사 전체 입장에서 구매사업부가 필요한 물량 전부를 공급사업부가 대체하는 것이 유리한 상황에서, 회사가 대체가격을 낮게 결정하게 되면 공급사업부가 자기부문의 성과 극대화를 위해 사내대체 물량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사업부가 필요한 물량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게 되므로 회사전체 입장에서 최적이 아닌 결과가 생긴다.
2. 대체가격 결정방법
사내대체거래에 있어서 대체가격을 높게 결정하고자 하는 공급사업부와 대체가격을 낮게 결정하고자 하는 구매사업부의 이해관계가 서로 충돌한다. 따라서 대체가격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대체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대체가격 결정방법]
구분 | 내용 |
외부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 |
① 목표일치성을 달성할 수 있다. ② 객관적이고 계산과정에 대한 논란이 없다. ③ 공급사업부에 원가를 절감하도록 동기부여 할 수 있다. ④ 다만, 신뢰성 있는 시장가격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적용 가능하다. |
공급사업부의 제조원가를 기준으로 결정 |
① 공급사업부의 실제원가를 기준으로 대체가격을 결정하는 경우 계산과 이해가 쉬워 실무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공급사업부의 생산원가를 구매사업부가 모두 보상해주므로 공급사업부에 원가절감 동기를 부여할 수 없다. ② 공급사업부에 동기부여를 위해 표준원가를 기준으로 대체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공급사업부가 표준원가를 과대계상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회사전체 입장에서 표준원가에 대한 점검을 해야한다. ③ 사내 대체물량 생산을 위한 증분원가는 변동원가이므로, 단기적으로는 변동원가를 기준으로 대체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사업부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고정원가도 회수되어야 하므로 전부원가를 기준으로 대체가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④ 변동원가 또는 전부원가를 대체가격으로 결정하게 되면 공급사업부에는 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가에 적정 이익을 가산하여 대체가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대체가격이 너무 높아져서 준최적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한다. |
기타의 방법 | ① 이중가격 (dual pricing) : 공급사업부와 구매사업부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기 위해 양사업부에 서로다른 대체가격을 결정하는 이중가격을 사용하 수도 있다. 이중가격은 회사 전체입장에서 최적의 물량을 대체하도록 양 사업부에게 유인을 제공할 수 있으나 적용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② 협상(negotiation) : 양 사업부의 협상에 의해 대체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각 사업부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 소요가 많고 각 사업부의 협상능력에 따라 대체가격이 결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③ 조세를 최소화하는 대체가격 : 양 사업부가 서로 다른 나라에 위치하여 각기 다른법인세를 적용받는다면 기업의 총 법인세액이 최소화가 되도록 대체가격을 결정한다. 이 경우 만약 법인세 외에 관세가 존재한다면 관세를 추가로 고려해야하고, 각국의 정부가 정한 국제이전가격의 범위를 준수해야한다. 경우에 따라 조세피난처를 활용하기도 한다. |
'Cost & Managerial Accounting > Managerial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장 -3절 회사전체 입장 (1) | 2024.01.26 |
---|---|
11장 -2절 대체가격 범위 (0) | 2024.01.26 |
10장 -2절 투자중심점 성과평과 (1) | 2024.01.25 |
10장 판매부문, 투자중심점 성과평가 - 1절 판매부분 성과평과 (0) | 2024.01.25 |
9장 -4절 표준원가 차이분석 (1)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