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st & Managerial Accounting/Managerial Accounting

11장 -3절 회사전체 입장

11장 사내대체거래

3절 회사전체 입장

 

 

 회사전체 이익에는 대체가격의 범위가 영향을 준다. 아래의 두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여 대체거래가 회사전체 이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자.

 

1.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는 경우

 

 

 

(1) 대체 가격을 ₩2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200보다 ₩50 만큼 비싸게 판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 이익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300보다 ₩50만큼 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이익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이익과 구매사업부의 이익을 더한 ₩100 이익




(2) 대체가격을 ₩1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200보다 ₩50만큼 싸게 판매하므로 대체 시 단위당 ₩50 손실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300보다 ₩150만큼 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150이익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이익과 구매사업부의 이익을 더한 ₩100 이익



(3) 대체가격을 ₩3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200보다 ₩150만큼 비싸게 판매하므로 대체 시 단위당 ₩150이익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300보다 ₩50만큼 비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손실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이익과 구매사업부의 이익을 더한 ₩100 이익



(4) 회사전체입장

 

 대체가격이 얼마로 결정되든 대체 시 최대대체가격과 최소대체가격의 차액만큼 이익 발생 -> 대체거래가 일어나야 함

 

 

(5)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1) 대체가격을 ₩200 ~ ₩300 사이에서 결정하는 경우 : 양 사업부는 대체거래에 참여하고 회사전체 입장에서도 대체거래가 일어나는 것이 유리하므로 목표일치성이 달성됨

 

2) 대체가격을 ₩200미만 또는 ₩300초과 구간에서 결정하는 경우 : 대체가격을 ₩200미만에서 결정하는 경우에는 공급사업부가, ₩300초과 구간에서 결정하는 경우에는 구매사업부가 거래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준최적화(목표불일치)발생

 

* 목표일치성(goal congruence)이란 회사전체의 성과와 각 사업부의 성과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목표일치성을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을 준최적화 또는 목표 불일치라 한다.

 

(6) 대체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 ₩200 ~ ₩300

 

 

 

2.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1) 대체 가격을 ₩2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300보다 ₩50 만큼 싸게 판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 손실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200보다 ₩50만큼 비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 손실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손실과 구매사업부의 손실을 더한 ₩100 손실


(2) 대체가격을 ₩1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300보다 ₩150만큼 싸게 판매하므로 대체 시 단위당 ₩150 손실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200보다 ₩50만큼 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50이익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손실과 구매사업부의 이익을 더한 ₩100 손실



(3) 대체가격을 ₩350으로 결정

 

1) 공급사업부 : 최소대체가격 ₩300보다 ₩50만큼 비싸게 판매하므로 대체 시 단위당 ₩50이익

 

2) 구매사업부 : 최대대체가격 ₩200보다 ₩150만큼 비싸게 구매하므로 대체시 단위당 ₩150손실

 

3) 회사전체 : 대체시 공급사업부의 이익과 구매사업부의 손실을 더한 ₩100 손실



(4) 회사전체 입장

 

 대체가격이 얼마로 결정되든 대체 시 최소대체가격과 최대대체가격의 차액 만큼 손실 발생 => 대체거래가 일어나면 안됨



(5)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 전범위(TP를 어디서 잡든 거래는 일어나지 않음)

 

1) 대체가격을 ₩200 ~ ₩300 사이에서 결정하는 경우 : 양 사업부는 대체거래에 참여하지 않고 회사전체 입장에서도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유리하므로 목표일치성이 달성됨

 

2) 대체가격을 ₩200 미만 ₩ 300초과 구간에서 결정하는 경우 : 대체가격을 ₩200미만에서 결정하는 경우에는 공급사업부가, ₩300초과 구간에서 결정하는 경우에는 구매사업부가 거래에 참여하지 않고 회사 전체입장에서도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유리하므로 목표일치성이 달성됨.

 

3) 따라서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언제나 목표일치성이 달성됨.

 

 

(6) 대체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 없음

 

 

 

 

사례)

사업부 A에서 생산되는 중간제품은 외부시장에 판매하거나 사업부 B에 대체할 수 있다. 사업부 B에서는 사업부 A에서 중간제품을 공급받거나 외부에서 중간제품을 구입하여 최종제품을 생산, 판매한다. 사업부A 및 사업부B에서의 생산관련 자료는 아래와 같다.

 

  사업부 A  사업부 B
최종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 - ₩3,000
중간제품의 단위당 추가가공원가 - ₩1,100
중간제품의 단위당 외부구입원가 - ₩2,000
중간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 ₩2,200 -
중간제품의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1,400 -
연간 생산 능력 8,000단위 2,000단위



(1) 중간제품의 시장수요량이 8,000단위이다. 사업부 B가 연간 생산능력인 2,000단위만큼 중간제품의 대체를 요구할 경우 각각 최소대체가격최대대체가격은 얼마인가? 또한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단, 사업부 B가 외부에서 중간제품을 구입할 경우 추가가공원가가 ₩200 만큼 절감된다고 가정한다.

 

 

 

(2) 중간제품의 시장수요량이 7,200단위이다. 사업부 B가 연간 생산능력 2,000단위 만큼 중간제품의 대체를 요구하며 분할대체는 불가능할 경우,

 

①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② 실제 2,000단위의 대체가 일어난다면 회사전체의 이익은 얼마나 증감하는가?

 

③ 만약 분할대체가 가능하다면 대체수량 구간별로 최소대체가격은 얼마인가?



(3) 중간제품의 시장수요량이 6,000단위이다. 사업부 B가 연간 생산능력인 2,000단위만큼 중간제품의 대체를 요구하여 분할 대체가 가능할 경우,

 

①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공항의 경영자가 대체가격을 ₩2,000으로 결정하면 준최적화 현상이 발생한다. 그 이유를 3줄 이내로 설명하시오.

 

② 사업부 A가 중간제품의 외부판매가격을 ₩2,100으로 인하할 경우 외부판매시장 판매량이 7,000단위 까지 증가한다고 한다. 대체수량 구간별로 최소대체가격을 구하시오.

 

 

 

해설)



(1)

 

*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 유휴설비가 없으므로 외부판매가격이 최소대체가격 = ₩ 2,200

 

* 구매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 MIN[₩1,900(중간제품의 순실현가치), ₩1,800(중간제품의 외부구입원가 ; ₩ 2,000 - ₩ 200 ) ]

 = ₩ 1,800

 

* ‘최대대채가격 ≤ ₩1,800 , ₩ 2,200 ≤ 최소대체가격’ 이므로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체가격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체가격이 어디서 결정되든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고 회사 전체 입장에서도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최선이므로 대체가격의 범위와 관계없이 항상 목표일치성이 달성된다.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 전범위



(2)

 

 

*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 첫 800단위는 유휴설비를 활용하므로 변동제조원가가 최소대체가격 = ₩1,400

: 다음 1,200단위는 유휴설비가 없으므로 외부판매가격이 최소대체가격 = ₩2,200

: 위 값을 가중평균한 값이 최소대체가격 = ₩1,400 x 40% + ₩2,200 x 60% = ₩1,880



* 구매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 MIN[₩1,900(중간제품의 순실현가치), ₩2,000(중간제품의 외부구입원가)] = ₩1,900

 

* ₩1,880 ≤ 최소대체가격, 최대대체가격 ≤ ₩1,900 이므로. 

목표일치성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가격의 범위 : ₩1,880 ~ ₩1,900



 

* 2,000단위의 대체가 일어날 경우 회사전체의 이익 증가액

: 2,000단위 x ( ₩1,900 - ₩1,880 ) = ₩ 40,000




 

*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 첫 800단위는 유휴설비를 활용하므로 변동제조원가가 최소대체가격 = ₩1,400

: 다음 1,200단위는 유휴설비가 없으므로 외부판매가격이 최소대체가격 = ₩2,200





(3)

 

 

*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 유휴설비를 활용하므로 변동제조원가가 최소대체가격 = ₩1,400

 

* 구매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 MIN[₩1,900(중간제품의 순실현가치), ₩2,000(중간제품의 외부구입원가)] = ₩1,900

 

* 대체가격의 범위가 ₩1,400 ~ ₩1,900으로 존재하므로 이 범위 안에서 대체가격을 결정하면 회사전체입장에서 단위당 ₩500만큼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대체가격을 ₩2,000으로 결정하면 구매사업부가 거래에 응하지 않게 되어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는다. 회사전체입장에서는 대체시 단위당 ₩500만큼 이익이 발생하는데 대체가격을 ₩2,000으로 결정하면 구매사업부의 거부로 인해 대체거래가 일어나지 않게 되어 준 최적화현상이 발생한다.



 

* 첫 1,000단위 : 어떠한 경우에도 유휴설비가 존재하므로 변동제조원가가 최소대체가격 = ₩1,400

 

* 다음 1,000단위

:  ‘ (6,000단위 판매 + 1,000단위 대체)의 공헌이익 ≥ 7,000단위 판매의 공헌이익 ’ 이어야 하므로

: (₩2,200 - ₩1,400) x 6,000개 + (최소대체가격 - ₩1,400) x 1,000개 ≥ (₩2,100 - ₩1,400) x 7,000개,  최소대체가격 ≥ ₩ 1,500

 

* 첫 1,000단위의 최소대체가격은 ₩1,400, 다음 1,000단위의 최소대체가격은 ₩1,500이다.

 

 

 

예제1)

㈜한국공항은 분권화된 사업부 A와 사업부 B를 이익중심점으로 운영하고있다. 사업부 A에서 생산되는 표준형 밸브는 외부시장에 판매하거나 사업부 B에 대체할 수 있다. 사업부 A는 현재 최대생산능력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표준형 밸브 전량을 단위당 판매가격 ₩50으로 외부시장에 판매하고 있고, 생산 및 판매에 관련된 자료는 아래와 같다.

 

 

사업부 A가 표준형 밸브를 사업부 B에 사내대체할 경우 단위당 변동제조원가를 ₩2만큼 절감할 수 있으며, 변동판매관리비는 발생하지 않는다. 사업부 A가 외부시장에 판매한 경우와 동일한 이익을 얻기위한 표준형 밸브의 단위당 사내대체가격은 얼마인가?



해설)

* 공급사업부 입장에서 외부판매와 동일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외부판매가격 만큼 대체가격을 설정 해야하지만 절감되는 변동제조원가와 변동판관비는 받지 않아도 된다.

 

* ₩50(외부판매가격) - ₩2(변동제조원가 절감액) - ₩4(변동판관비 절감액) = ₩44

 

 

 

예제2)

㈜한국공항은 분권화된 사업부 1과 사업부 2를 이익중심점(이익책임단위)으로 설정하고 있다. 사업부 1은 반제품 A를 생산하여 사업부 2에 이전(대체)하거나 외부시장에 판매할 수 있다. 사업부 2가 제품 B를 생산하려면, 반제품 A를 사업부 1로 부터 구입하여야 하며 외부시장에서 구입할 수는 없다.

 

반제품 A와 제품 B에 관한 단위당 자료는 아래와 같다.

 

 

만약 사업부 1이 유휴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두 사업부간 이전거래(대체거래)가 이루어지는 반제품 A의 사내이전가격(사내대체가격)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해설)

* 최소대체가격 : ₩25(외부판매가격)

* 최대대체가격 : ₩80 - ₩30 - ₩5 = ₩45(중간제품의 순실현가치)

 

 

 

예제3)

㈜한국공항에는 A, B두 사업부가 있는데, B 사업부는 신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품 2,000개를 A사업부로부터 구입하려고 한다. A사업부가 이 부품을 생산하는데 단위당 변동원가 ₩22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A사업부는 이 부품 2,000개를 생산하기 위해 현재 생산, 판매중인 Z제품 2,500개를 포기해야 한다. Z제품의 판매단가는 ₩45이고, 단위당 변동원가는 ₩15이다.  B사업부는 이 부품을 외부에서 단위당 ₩65에 구입할 수 있다. 대체가격의 범위를 구하시오.


해설)

* A사업부(공급부문)의 최소대체가격 : 증분(변동)원가 + 기회비용

 

* B사업부(구매부문)의 최대대체가격 : ₩65

 

* 대체가격의 범위 : ₩59.5 ~ ₩65